본문 바로가기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돈세이버 2025. 6. 26.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수많은 국민과 군인의 희생을 통해 현재의 대한민국을 지켜낸 역사적 사건입니다. 이러한 국가적 위기 속에서 생명을 바쳐 조국을 지킨 6·25 참전용사에 대해 정부는 다양한 방식의 예우와 지원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4년과 2025년 기준으로 실제 시행되고 있는 참전유공자 및 유족 대상 보훈 혜택신청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 쉽고 간편하게 바로가기 ⭐️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6·25 참전유공자 주요 혜택

1. 금전적 지원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 참전명예수당: 65세 이상 참전유공자에게 월 45만 원 지급 (2025년 기준)
  • 생계지원금: 80세 이상 참전유공자 중 생계곤란자 대상, 월 10만 원 추가 지급
  • 생활조정수당: 일정 소득 이하 유공자 대상 추가 지급 (중복 불가)

2. 의료 지원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 보훈병원 진료비: 본인부담금의 90% 감면
  • 위탁병원: 건강보험 가입자 대상 법정 진료비 본인부담금 90% 감면
  • 전국 400여 개 병원: 양·한방 병원에서 자발적 진료 감면 실시

3. 장례 지원

  • 장제보조비: 20만 원 (단, 국립묘지 안장 시 제외)
  • 영구용 태극기국립호국원 안장 지원 (배우자 합장 가능)

4. 기타 복지 혜택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 국공립 시설 이용료 감면: 고궁, 박물관, 미술관 등 대부분 시설에서 100% 할인
  • 문화공연 할인: 일부 공연장 무료 또는 할인 (대관 공연 제외)

5. 지방자치단체별 추가 수당

전국 지자체는 별도의 참전수당을 지급 중이며, 금액은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지역 월 수당액 (최대) 유족 지원
서울 송파구 매년 6월 24일 참전수당 지급 별도 지원 없음
부산 기장군 20만 원 사망 유족 수당 월 5만 원
경기 파주시 최대 20만 원 (월/연 단위 복합) 배우자 위로금 연 20만 원
강원도 최대 40만 원 지자체별 상이
제주특별자치도 25만 원 별도 공지 없음

 

 

참전유공자 등록 및 혜택 신청 방법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 신청 자격

  •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한 사실이 병적증명서 등으로 확인 가능한 자
  • 등록 후 참전유공자 번호를 부여받아야 혜택 수령 가능

 

📌 신청 장소

  • 주소지 관할 보훈지청
  •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접수 지원 가능

 

📌 필요 서류

  • 참전유공자 등록 신청서
  • 병적증명서 또는 참전 확인이 가능한 문서
  • 사진 1매 (3.5×4.5cm)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가족관계증명서 (유족 등록 시)

 

자주 묻는 질문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Q. 참전유공자 등록 없이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참전유공자여야만 수당 및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유족도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 사망 당시 법률상 배우자나 직계 자녀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일부 지자체에서 수당이나 위로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Q. 신청은 누가 하나요?
A. 본인 신청이 원칙이나, 고령 등 사유가 있을 경우 대리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Q. 등록한 이후 혜택은 자동으로 지급되나요?
A. 대부분의 수당은 등록 후 자동 지급되나, 일부 지자체 수당은 별도 신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참전유공자가 아닌 경우에도 보훈 등록이 가능한가요?
A. 경우에 따라 월남전, 베트남전, 기타 해외파병 참전 유공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요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Q. 신청 관련 문의는 어디로 하나요?
A. 국가보훈콜센터 1577-0606으로 전화하시면 상세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6·25 참전유공자 혜택 총정리 및 신청 방법 안내

6·25 전쟁에 참전한 분들과 그 가족의 희생을 기억하며, 국가는 정기적인 수당과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등록만 완료하면 대부분의 혜택은 자동으로 지급되며, 신청은 어렵지 않습니다.

아직 등록하지 않으셨다면, 오늘 바로 주소지 관할 보훈지청을 통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댓글